동해 나들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해 나들목은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지흥동과 천곡동에 위치한 동해고속도로의 나들목이다. 1996년 천곡광장으로 고시되었으며, 2004년 동해고속도로 강릉 ~ 동해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2016년 동해고속도로 삼척 ~ 동해 구간 개통으로 이중 트럼펫형 나들목으로 변경되었다. 국도 제7호선과 연결되며, 2004년부터의 교통량 정보가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도 제7호선 - 동해대로
동해대로는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이어지는 국도로, 국도 제7호선과 상당 부분 중복되며,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이며, 북한과의 접경 지역으로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는 구간도 존재한다. - 국도 제7호선 - 새천년대로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와 북구를 잇는 새천년대로는 산업로와 직결되며 국도 제7호선, 국도 제31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0호선과 연결되고 효자역, 포항교육지원청, 포항문화방송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한 도로이다. - 동해시의 교통 - 국도 제7호선
국도 제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동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전 구간 4차선으로 확장되었으며,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동해시의 교통 - 묵호항
묵호항은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에 위치한 1941년에 개항된 항구로, 어업과 무역 기능을 담당하며 동해안 지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주변 자연 경관과 신선한 해산물로 관광객들에게도 인기가 높다. - 동해고속도로 - 남포항 나들목
남포항 나들목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문덕리에 위치한 동해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2015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국도 제31호선과 연결되는 직결 램프가 포함된 클로버형 입체 교차로이다. - 동해고속도로 - 장안 나들목
장안 나들목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에 위치한 동해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2008년 개통 이후 통행량 변화를 보이며 기장대로를 통해 국도 제14호선 및 부산광역시도 제91호선과 연결된다.
동해 나들목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동해 나들목 |
위치 정보 | |
소재지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지흥동, 천곡동 |
구조 | |
형태 | 이중 트럼펫형 |
연혁 | |
개통일 | 2004년 11월 24일 |
통행 정보 | |
노선 | 동해고속도로 |
노선 번호 | 31 |
기점 거리 | 근덕 기점 17.86 km |
이전 구조물 | 삼척 나들목 |
이전 거리 | 8.50 |
다음 구조물 | 망상 나들목 |
다음 거리 | 8.24 |
접속 도로 | |
접속 노선 | 국도 제7호선 |
기타 정보 |
2. 연혁
- 1996년 12월 17일 : 동해시 도시계획시설 교통광장에 천곡동 일원을 '천곡광장'으로 고시[1]
- 2004년 10월 12일 : 나들목 요금소 위치 변경으로 인해 강원도 동해시 지흥동 ~ 강릉시 성산면 40.6km 구간 도로구역 변경[2] (2004년 12월까지)
- 2004년 11월 24일 : 동해고속도로 강릉 ~ 동해 구간 확장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3]
- 2007년 10월 9일 : 동해 ~ 삼척(귀운 ~ 용정) 구간 신설로 인해 동해시 도시계획시설 교통광장이 '''동해 나들목'''으로 변경[4]
- 2016년 9월 9일 : 동해고속도로 삼척 ~ 동해 구간 개통과 함께 남측 잔여 램프 통행 개시[5]
3. 구조
동해 나들목은 본래 복합형(직결형, 트럼펫형) 나들목 형태로 개통되었으나, 2016년 9월 9일 동해고속도로 삼척~동해 구간 개통으로 이중 트럼펫형 나들목으로 변경되었다.
3. 1. 위치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지흥동, 천곡동에 있다.3. 2. 영업소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지흥동, 천곡동에 있다. 영업소는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동해대로 5249 (지흥동)에 있다.4. 접속 도로
5. 교통량 정보
다음은 동해 요금소 기준 연도별 교통량이다.[6]
요금소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각주 |
---|---|---|---|---|---|---|---|---|---|---|---|---|---|---|---|---|---|
동해 (폐쇄식) | 4,661 | 4,808 | 4,659 | 4,938 | 4,769 | 5,234 | 5,554 | 5,670 | 5,974 | 6,348 | 6,533 | 7,109 | 6,855 | 5,519 | 5,816 | 6,192 | [6] |
5. 1. 연도별 교통량 (단위: 대/일)
요금소 | 통행량 (대/일) | 각주 | |||||||||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
동해 (폐쇄식) | 미개통 | 4,661 | 4,808 | 4,659 | 4,938 | 4,769 | 5,234 | 5,554 | [6] | ||
요금소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동해 (폐쇄식) | 5,670 | 5,974 | 6,348 | 6,533 | 7,109 | 6,855 | 5,519 | 5,816 | 6,192 | [6] |
참조
[1]
간행물
강원도고시 제1996-217호
http://theme.archive[...]
1996-12-17
[2]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4-268호
http://gwanbo.mois.g[...]
2004-10-12
[3]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2004-290호
http://gwanbo.mois.g[...]
2004-11-16
[4]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7-414호
http://gwanbo.mois.g[...]
2007-10-09
[5]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6-1229호
http://gwanbo.mois.g[...]
2016-09-09
[6]
웹사이트
영업소이용차량
http://www.ex.c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